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최악의 상황, 스태그플레이션 에 대해 알아보자 - 2022년 올까?
    기업분석 2022. 5. 9. 05:53
    728x90
    반응형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단어이다

    말 그대로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이 스태그플레이션인데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물가까지 과도하게 오르는 상황이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이론적으로는 일어날 수 없는 현상인데  앞서 1화에서 인플레이션은 주로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일어난다고 했었다

    인플레이션은 경제가 성장할 때 일어나는데,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기에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모순적인 상황이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은?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자
    가장 대표적인 스태그플레이션은 1970년 오일쇼크와 함께 발생했는데요. 오일쇼크란 원유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올라 세계 각국의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사건이다

    오일쇼크가 일어나면서 석유를 사용해 물건을 생산하는 기업들은 생산을 줄일 수밖에 없었는데
    기름값이 너무 비싸 물건을 많이 만들 수 없었다. 기업들의 상황이 안 좋아지면서, 경기 침체가 시작되었다

    그런데 각국 정부는 경기 침체를 막으려고 시중에 돈을 많이 풀어서 경제가 살아났는데
    정부가 돈을 마구 풀자, 화폐 가치가 떨어졌고 물가가 오르기 시작했다. 이렇게 경기는 침체되었는데 물가는 오르는 상황이 만들어지며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2022년, 스태그플레이션이 올까?

    2022년의 경제 상황은 1970년의 경제 상황과 닮아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때문에 유가가 급등했으며, 에너지 가격과 식량 가격 역시 급격히 오르고 있다
    게다가 코로나 극복하기 위해 많은 국가들이 시중에 돈을 풀고, 기준금리를 낮춰 소비를 늘리고자 했어요. 그 결과 지금 세계 각국은 급격한 인플레이션을 경험하고 있다

    그런데 유가가 급등하고, 코로나로 인해
    공급망이 망가지면서 기업들은 힘든 상황인데
    원자재를 제대로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유가가 오르면서 기업들은 생산량을 줄일 수밖에 없었다.

    또한 각국의 중앙은행은 과도하게 오르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고. 기준금리가 올라가므로 인해 소비가 줄어들고,
    기업들이 힘든 상황이 지속되면 경기 침체가 올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행히도 아직까지는 경기 침체가 온 상황은 아니에요. 그러나 경기 둔화가 지속되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면 스태그플레이션이 찾아올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세계 각국은 경기 침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테그플레이션에는
    주식시장에서는 현금을 보유하라고 하는데
    물가도 급격히 상승하는 인플레이션도 동반하기에 실물자산 보유도 괜찮을 것으로 본다
    다만, 경기는 침체기이기 때문에 과도한 대출로 실물자산 보유는 비추한다


    #스테그플레이션  #경기침체  #물가상승
    #최악의상황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