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의 역사 및 경동나비엔 보일러 기업 경쟁력 분석
겨울철 우리의 필수 설비 장치인 보일러의 역사 및 경동나이엔 콘덴싱 보일러 장점, 경쟁력에 대해 알아본다.
보일러의 역사
한국의 온돌 난방의 역사는 고구려 시절부터 내려온 고유의 기술로 목재, 석탄의 연료를 고급 연료(기름, 가스)로 에너지 소비형태를 바꾼것이 20~30년 정도에 불과하다. 국내 최초의 보일러는 석탄을 연료로 화격자에 불을 붙인 다음 토농 속의 물을 데워 난방으로 사용하는것으로 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는 다시 연탄으로 이어진다. 그 뒤 70년대 이후부터는 중앙식 연탄보일러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다. 75년 이후부터는 기름 보일러가 급 성장하기 시작하여 80년대에는 거의 주종을 이루게 되었고 이때부터 보일러 역사상 처음으로 점화 시스템을 부착하여 우리의 방안에서 보일러를 편리하게 끄고 키는 생활을 하게된다.
기름보일러의 단점
기름보일러에서 가스보일러로 전환
기름보일러는 철을 사용한 열교환기가 쉽게 부식해 누설되고 배관이 자주 막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정부의 강력한 에너지 합리화 정책 등으로 점차 가스보일러 쪽으로 시장 흐름이 옮겨지게 된다. 국내 가스보일러는 87년 롯데기공이 최초로 ks표시허가를 획득한 표준화가 이루어지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하게 되고 99년도에 이르면서 성숙기로 접어들게 된다.
한국 보일러의 기원
사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추운 겨울에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녹여주고 씻을때 꼭 필요한 따뜻한 온수 이제는 없어서는 안되는 보일러의 기원은 온돌이다. 온돌은 우리나라 옥저 -고구려 쪽구들에서 부터 의 기원된다. 온돌은 따뜻할 온과 구들 돌을 쓴 한자어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온돌은 고려말기에서 조선초기에 등장하는데 원래 온돌은 특수한 상황에서 만들어졌다. 주로 방 전체를 데워 병자나 노인의 병을 돌보기 위해 이용했다. 즉 원시적인 방법인 방에 불을 직접 피우지 않더라도 따뜻하게 지낼 수 있게 된것이다. 그 옛날 온돌이 사용되었다는 자료는 1624년 인조의 실록에 사대부 집의 노비까지 온돌방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보일러 산업의 역사
우리나라 보일러 산업의 역사는 온돌을 그 기원으로 하는데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나무를 땔감으로 사용하여 온돌을 통해 난방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처럼 온돌은 구조가 단순하고 연료가 적게 소비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라는 특징과 열기가 계속 방바닥에 유지되고 온돌 바닥을 통해 열이 고스란히 몸에 전달되기 때문에 건강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준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온돌은 바닥에 부분적으로 전달되는데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데 구들장 위에만 뜨거운 경우가 그 것이다. 따라서 그 이후 증기를 통한 난방의 방식이 도입되었는데 증기를 통한 난방은 온돌보다 방안을 원하는 온도까지 상승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공공기관에 제일 먼저 도입되었다. 이후 1961년 온돌을 개조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연탄 온수 보일러가 도입되고 이때 가정용 보일러가 최초로 보급되게 된다.
경동나비엔
아시아 최초 콘덴싱보일러 개발
경동나비엔은 가스보일러 부분에서 국가 브랜드 경쟁력지수(NBCI) 1위를 차지했다. 경동나비엔은 1988년 아시아 최초로 콘덴싱보일러를 개발하고 에너지절감과 환경보호를 위해 콘덴싱보일러의 국내보급에 압장서왔다. 콘덴싱 보일러는 일반보일러 대비 미세먼지의 주요원인이 되는 질소산화물을 약 79%감소시키고 온실효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크게 낮춰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는 장점이 널리 알려지며 2020년 4월 국내에서도 대기관리권역 내 상용이 의무화 되었다.